맞춤법 썸네일형 리스트형 ‘~던’과 ‘~든’ 구분 좀! 헷갈리는 우리말 2탄! 정리를 하면서도 헷갈리는 "~던"과 "~든" ! "~던"과 "~든"은 한국어에서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의미와 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차이점을 자세히 설명해볼께요. 1. ~던 - 의미: 과거를 나타내거나, 어떤 상태나 상황이 이전에 존재했음을 강조합니다. 주로 회상하거나 과거의 경험을 말할 때 사용됩니다. - 문법적 특징: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붙으며, 과거형 어미인 "-었-"과 결합한 형태로 보기도 합니다. - 예시: - "내가 살던 집은 작았어." - "그가 사랑하던 여자는 떠났어." - 특징: 과거 시점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그 상태가 현재는 지속되지 않을 가능성이 암시될 수 있습니다.2. ~든- 의미: "어떤 것이든"이라는 뜻으로, 선택이나 .. 더보기 ‘~로서’와 ‘로써’ 구분 좀! 우리말에는 비슷한 모습으로 우리를 헷갈리게 하는 말들이 있어요. 그 중 하나가 "~로써"와 "~로서"에요. 오늘은 이 둘의 차이와 정확한 사용법을 알아볼께요."~로써"와 "~로서"는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둘 다 조사를 활용한 표현이지만, 쓰임새와 뉘앙스가 다르므로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차이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로써 - 의미: "어떤 도구나 수단, 방법"을 나타내며, 주로 구체적인 행위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 문법적 특징: 동작이나 행위와 관련된 명사 뒤에 붙으며, 그 명사가 행동을 실행하는 도구나 방식을 나타냅니다.- 예시: - "이 문제는 논리로써 풀어야 한다." - "그는 펜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다.. 더보기 매번 헷갈리는 ‘로서’와 ‘로써’ 형제 이야기 매번 글 쓸 때마다 헷갈리는 ‘로서’와 ‘로써’ 형제 이야기를 정리 해드리겠습니다!‘~로서’와 ‘~로써’는 한글 맞춤법에서 각각 다른 용법을 가집니다.1. ‘~로서’: - 주로 자격이나 역할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예: “그는 학생으로서 열심히 공부한다.” - 여기서 “학생으로서”는 “학생이라는 자격으로”라는 의미입니다.2. ‘~로써’: - 주로 도구나 수단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예: “그는 펜으로써 글을 쓴다.” - 여기서 “펜으로써”는 “펜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라는 의미입니다.따라서, 두 표현은 문장에서 쓰이는 역할이 다릅니다. “자격”이나 “역할”을 나타낼 땐 ‘~로서’를, “도구”나 “수단”을 나타낼 땐 ‘~로써’를 사용합니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