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인터넷 알아보까?

카카오 애드핏 (Adfit) 수익 발생구조는?

728x90
반응형

(사진: 카카오 애드핏 홈페이지 캡쳐)

 

인터넷 여기저기서 카카오 애드핏 (Adfit)은 수익 발생이 너무 안된다는 글들이 많네요. 애드센스는 승인 하나도 너무 받기 어렵던데, 애드핏은 그 대안이 정말 될 수 없을지 궁금해서 알아보았어요. 

카카오 애드핏의 광고수익 발생구조는 주로 "광고 노출수(Impression)"와 "클릭수(Click)"를 기반으로 하며, 다른 플랫폼과 차별화된 특징을 보입니다. 검색 결과를 종합한 주요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익 산정 방식
1. 노출 기반 수익(eCPM):
광고가 1,000회 노출될 때 예상되는 수익인 eCPM을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eCPM이 1.69인 경우 1,000회 노출당 약 169원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이는 클릭 없이 순수 노출만으로도 수익이 발생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2. 클릭 기반 수익:
광고 클릭 시 추가 수익이 발생하지만, 검색 사례에서 클릭당 수익은 노출 대비 낮은 편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21회 클릭으로 1,735원의 수익이 발생한 사례가 있습니다.

수익 배분 구조
1. 투명성 부재:
구글 애드센스와 달리 카카오 애드핏은 광고 수익 중 블로거와 플랫폼의 배분 비율을 공개하지 않습니다.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추정한 결과, 블로거가 전체 수익의 약 10%, 카카오가 90%를 가져가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는 구글 애드센스의 블로거 68% 배분과 대비됩니다.

2. 낮은 수익률:
일일 방문자 200명 기준으로 카카오 애드핏의 주간 수익은 1,700원 수준이며, 구글 애드센스 대비 약 6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방문자당 수익은 1.13원으로 보고된 사례도 있습니다.

운영 조건 및 특징

1. 승인 용이성:
블로그 개설 30일 이상, 최근 3개월 내 20개 이상의 공개 포스팅이 조건이며, 신청 후 12시간 내 승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광고 배치 유연성:
모바일/PC별 광고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본문 중간 삽입 시 별도 편집이 필요합니다.  
3. 데일리 리포트:
카카오톡으로 일일 광고 노출수·클릭수·수익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판적 시각
1. 저조한 수익성:
많은 노출과 유입에도 불구하고 수익이 미미해 블로거들이 플랫폼을 철회하는 사례가 빈번하다고 합니다. 실제로 검색 결과가 대부분이 부정적이었어요.    
2. 시스템 불안정성:
특정 기간 동안 노출 수는 집계되지만 수익이 0원으로 기록되는 등 기술적 결함이 보고되었습니다.
종합하면, 카카오 애드핏은 접근성과 편의성은 높지만 수익률과 투명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초보 블로거에게는 진입 장벽이 낮은 반면, 본격적인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하는 경우 구글 애드센스 등 대체 플랫폼과의 병행 사용이 나을 것 같습니다. 과연 내 애드센스는 언제 승인이 될 것인가? 그 놈의 색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