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거 알아도 어따쓰지?

늬들이 간장 맛을 알어?!

728x90
반응형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 음식을 하다보면, 간장 종류에도 여러가지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런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무엇을 어느 음식에 써야하는지 가늠하기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그럴 땐 '엄마찬스'를 써서 벗어나곤 하는데, 이번에 이런 헷갈리는 간장 종류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진간장, 국간장, 양조간장, 맛간장, 조선간장은 한국 요리에 자주 사용되는 간장의 종류로, 제조 방식, , 용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진간장

 - 제조: 양조간장을 기본으로 추가 숙성하거나 조미료를 첨가해 농도와 감칠맛을 높인 간장.

 - 특징: 색이 짙고, 맛이 진하며 감칠맛이 강함. 염도는 중간~높음.

 - 용도: 양념장(불고기, 장조림), 볶음 요리 등 강한 맛이 필요한 음식.

 - : 짭짤하면서 깊고 풍부한 풍미.

 

2. 국간장

 - 제조: 전통 메주(삶은 콩 발효 덩어리)를 소금물에 담가 자연 발효 후 건더기를 걸러낸 간장. 현대에는 상업적으로 표준화됨.

 - 특징: 색이 연하고, 염도가 높으며 감칠맛은 약함.

 - 용도: , (된장국, 미역국) 등 맑은 국물 요리에 주로 사용.

 - : 짠맛이 강하고 깔끔, 재료 본연의 맛을 해치지 않음.

 

3. 양조간장

 - 제조: 대두와 밀을 효모로 발효시키고, 약간의 화학적 조미료를 섞어 대량 생산. 발효 시간이 비교적 짧음.

 - 특징: 색과 염도가 중간, 맛이 균일하고 무난함.

 - 용도: , 조림, 무침, 볶음 등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범용 간장.

 - : 짭짤하면서 부드럽고 보통 수준의 감칠맛.

 

4. 맛간장

 - 제조: 양조간장에 다시마, 멸치, 버섯 등으로 육수를 내거나 조미료를 추가해 감칠맛을 강화.

 - 특징: 색은 다양하고, 염도는 낮음~중간, 감칠맛이 매우 강함.

 - 용도: 찍어 먹는 소스(만두, ), 국수 육수, 간단한 양념.

 - : 짠맛보다 단맛과 감칠맛이 두드러짐.

 

5. 조선간장

 - 제조: 조선 시대 전통 방식으로, 메주를 소금물에 담가 자연 발효시켜 만든 수제 간장. 화학 첨가물 없이 오랜 숙성.

 - 특징: 색이 연하고, 염도가 높으며, 집마다 맛이 조금씩 다를 수 있음.

 - 용도: , , 찜 등 전통 한식 국물 요리.

 - : 짜고 깔끔하며 투박한 풍미, 감칠맛은 약함.

 

차이점 & 핵심

 - 제조 과정: 조선간장은 전통 수제 방식, 국간장은 그 상업화 버전, 양조간장은 현대 공업 방식, 진간장은 양조간장의 강화판, 맛간장은 조미 추가형.

 - 맛의 강도: 감칠맛은 맛간장 > 진간장 > 양조간장 > 국간장 조선간장 순.

 - 용도 특화: 국물 요리(국간장, 조선간장), 다용도(양조간장), 양념(진간장), 소스(맛간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