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튜브나 유명 호텔들을 다니다보면 한일커플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실제 뉴스에서도 한일(韓日)부부가 증가 추세라고 합네요. 왜일까요?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실제 최근 통계에 따르면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 간의 결혼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3월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2023년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의 결혼 건수는 1,176건으로, 이는 전년도(840건)보다 40%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는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한일 간 국제결혼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을 보여줍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런 증가세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1. 한일 청년 간 교류 증가: 과거 ‘노재팬’ 불매운동으로 인해 한일 간 교류가 주춤했지만, 최근 몇 년간 양국 젊은이들 사이의 교류가 다시 활발해졌습니다. 코로나19 규제가 완화되면서 여행과 유학, 직장 내 접촉 등이 늘어난 것이 배경으로 보입니다.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박현정은 “일본 불매운동 이후 교류가 회복되며 한일 국제결혼이 많아졌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2. 문화적 매력과 인식 변화: 한국 남성들이 일본 여성에게 매력을 느끼는 이유로, 일본 여성의 성격이나 태도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한국 남성들은 일본 여성이 따뜻하고 헌신적이며, 한국 남성의 정(情)과 잘 맞는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반대로 일본 여성들 사이에서 한국 남성의 애정 표현이나 가정에 대한 헌신이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습니다.
3.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 증가: 한국 내 결혼에 대한 인식이 최근 개선되고 있습니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2022년 50%에서 2023년 52.5%로 상승했습니다. 특히 30대 초반 남성의 결혼 건수가 크게 늘었는데(23.8% 증가), 이는 국제결혼 증가와도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 간 결혼 증가는 단순히 숫자적 변화가 아니라, 양국 간 사회적·문화적 관계 회복과 개인적 선호의 결과로 보입니다. 다만, 이는 전체 국제결혼(2023년 21,000건)의 일부일 뿐이며, 외국인 아내 중 일본 여성은 베트남(32.1%), 중국(16.7%), 태국(13.7%)에 이어 4번째(7.5%)로, 아직 절대적인 비중은 크지 않습니다. 그래도 이 추세는 앞으로도 주목할 만한 현상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거 알아도 어따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톰과 제리 결말을 본 사람이 있을까? (1) | 2025.03.25 |
---|---|
골프 아이언 클럽 중 쌩뚱맞은 W와 U는 뭐지? (1) | 2025.03.25 |
호텔에서 ’체크인 (check-in) & 체크아웃 (check-out)'을 쓰게 된 이유가 있을까? (1) | 2025.03.24 |
체크인 (Check-in), 체크아웃 (Check-out) 한국어 표현은? (0) | 2025.03.24 |
케이스티파이 (CASETiFY)가 연예인 폰케이스라 왜 불릴까? (0) | 2025.03.23 |